紅燭淚歌(홍촉루가)
-이개-
房中紅燭爲誰別(방중홍촉위수별)
風淚汎瀾不自禁(풍루범란부자금)
畢竟怪伊金似我(필경괴이금사아)
任情灰盡寸來心(임정회진촌래심)
<풀이>
방 안에 켜 놓은 촛불은 누구와 이별하였기에,
겉으로 눈물을 흘리면서 속이 타 들어 가는 것을 모르는가.
저 촛불도 나와 같아서
속이 타는 줄을 모르는구나
<해설>
영월땅에 보내진 단종을 사모하면서 읊은 것으로, 남몰래 애태우는 자신의 심정을 타는 촛불에 비유하여 형상화한 작품이다. 사육신(死六臣)의 절의가 중 하나이다. 이개는 무생물인 촛불을 의인화하여 그것이 타는 모습을 이별의 슬픔 때문에 눈물을 흘리는 것으로 묘사하고, 촛불과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신의 슬픈 정서를 촛불에 이입하여 형상화하였다.
*이개(李塏, 1417∼1456): 조선 태조∼세조 때의 문신으로, 자 청보(淸甫), 호 백옥헌(白玉軒)이다.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으로, 시문에 능하고 글씨를 아주 잘 쓴 학자였다. 문과에 급제하여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했으며 벼슬이 직제학에 이르렀다. 하지만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성삼문 등과 함께 새남터에서 처형당했다.
